~2023 (160)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commit 상태로 초기화하기 프로젝트를 수행하다가 다른 사람의 브랜치에 있는 코드를 참고하기 위해 파일을 열었는데 뭔가 수정을 해버려서 push 해주지 않으면 브랜치 변경을 할 수 없게 됐다. 그렇다고 다른 사람이 작업하던건데 내가 수정하면 안 될 것 같아 commit된 파일로 다시 되돌리는 방법을 찾았다. 방법은 총 두 가지가 있는데 협업하는데 아주 유용할 것이다. 첫 번째 방법은 모든 변경 파일을 되돌리고 싶을 때 사용하며, 두 번째 방법은 특정 파일만 상태를 되돌린다. 1. 첫 번째 방법 git reset --hard 모든 변경 파일을 전부 되돌리고 싶을 때 사용 2. 두 번째 방법 git checkout -- 파일이름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이라면 파일이름에 ex.py를 넣으면 되고, 하위 디렉토리 아래에 있다면 ex/ex.. [Git] 맥북에서 깃허브에 대용량 업로드하기 인공지능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데이터나 모델 가중치 등 개수가 많고 용량이 큰 파일을 깃허브 레파지토리에 업로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용량 제한으로 업로드가 거부된다. 그렇다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니 M1칩이 탑재된 디바이스 기준으로 어떻게 해야 깃허브에 대용량 업로드가 가능한지 알아보자. 1. 준비물 Homebrew Git 2. Git-LFS 설치 git-lfs를 설치하면 100MB이하까지 무료로 대용량 업로드가 가능하다! 그래서 homebrew를 통해 설치해주자. brew install git-lfs 3. Git-LFS 설정 git-lfs가 설치됐다면 프로젝트 폴더로 가서 대용량 업로드 할 파일 타입?을 설정해주면 된다. cd [프로젝트 폴더] git-lfs track "*.*" # "[파일.. [문제 해결] Docker run 명령어 실행 에러 1. 에러명 You have to remove (or rename) that container to be able to reuse that name. 2. 문제 Docker Container가 살아있어서 run 실행 시 작동이 안 될 때가 있는데 이런 에러를 해결하기 위한 명령어들이 있다. 3. 해결 방법 # 현재 실행중인 컨테이너 목록 보기 docker ps # 원하는 컨테이너 멈추기 docker stop # 컨에티너 죽이기 docker kill [문제 해결] docker.sock에 대한 permission denied이 발생한 경우 1. 에러명 Got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at unix:///var/run/docker.sock: Get http://%2Fvar%2Frun%2Fdocker.sock/v1.40/containers/json?all=1: dial unix /var/run/docker.sock: connect: permission denied 2. 문제 docker 설치 후에 아무 명령어나 사용했을 때 해당하는 에러명이 발생하는 이유는 docker.sock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docker가 실행되고 있지 않거나 접근 권한이 할당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비교적 간단한 문제이기 때문에 해결.. [문제 해결] Apache http 403 에러 발생 AH01630 1. 에러명 AH01630: client denied by server configuration: 2. 문제 Windows 10 환경에서 Apache 2.4으로 다중 포트를 구현하다가 80포트 외에 다른 포트에 접속 시 http 403 에러가 발생했다. 그래서 error.log를 보니 위에 에러가 찍혀 있었다. 3. 해결 방법 인터넷 검색을 해본 결과 Directory에 대한 접근 권한 문제인 것을 발견하고 접근 권한을 해제해 접근하도록 해줬다. 다만, 2.4 버전을 기점으로 차이가 있다고 하는데 2.4 버전에서는 해결이 됐는데 2.4 이전 버전에서는 제대로 동작하는지는 직접 테스트는 안 해보고 정보가 있길래 가져왔다. 디렉토리를 명시해주는 설정 파일에서 다음과 같이 수정하면 된다. {path}는 웹에 .. [문제 해결] 주피터 노트북 ERROR “Bad file descriptor” 1. 에러명 Bad file descriptor (C:\...\epoll.cpp:100) 2. 문제 주피터 노트북에서 커널 실행이 안 되는데 Anaconda Prompt에서 로그를 보면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3. 해결 방법 위 에러는 pyzmq 라이브러리 충돌로 인해 그렇다고 한다. 그래서 버전을 다르게 설치해주면 되기 때문에 다음 명령어를 순서대로 수행하면 된다. pip uninstall pyzmq pip install pyzmq==19.0.2 [문제 해결] CUDA 디바이스에서 실행할 수 있는 커널 이미지가 없음 1. 에러명 CUDA error: no kernel image is available for execution on the device CUDA kernel errors might be asynchronously reported at some other API call,so the stacktrace below might be incorrect. For debugging consider passing CUDA_LAUNCH_BLOCKING=1. 2. 문제 PyTorch를 사용해 학습을 하려다가 다음과 같은 CUDA 에러가 발생했다. 그래서 왜 이런 에러가 발생했는지 조사를 해봤는데 PyTorch 라이브러리와 CUDA 버전이 맞지 않아 발생한 간단한 에러이다. 따라서 PyTorch와 CUDA에 대한 호환성을.. [OpenCV] ROI 영역 그려서 마스크 이미지 만들기 관심 영역(ROI)을 추출해내기 위해서는 두 개의 데이터가 필요한데 그것은 원본 이미지와 마스크 이미지이다. 알고리즘을 간단하게 이야기하자면, 원본 이미지에 마스크 이미지를 올려 마스크 이미지에서 (보통) 검정색이 아닌 흰색으로 된 부분에 해당하는 원본 이미지 색깔 정보를 추출해 ROI 영역만 활성화시킨다. 그렇다면 마스크 이미지는 어떻게 구하는가? 질문의 대답은 사람이 하나하나 ROI 영역을 지정해야 한다. ROI 영역을 그리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겠지만, 이 글에서는 OpenCV를 통해 이미지를 윈도우에 띄우고 마우스 클릭 이벤트를 사용해 ROI 영역을 지정해 마스크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자. 그전에 opencv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하고 파이썬에 import하자. (*cv2 패키지는 존재하지 않.. 이전 1 2 3 4 5 6 7 8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