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git bash

(5)
[Git] Commit 메세지에 issue 연결하기 git commit을 통해 커밋 메세지 입력 시 issue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이슈번호]로 표기하면 된다. 하지만 -m 명령어가 아닌 notepad++나 다른 text 도구를 사용할 경우 #가 주석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슈번호]를 입력해도 커밋 메세지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슈번호]를 사용하기 위해 주석 기능을 하는 문자를 바꾸면 된다. git config --global core.commentChar ";" ;를 사용하는 이유는 모르지만 관례인 것 같다.
[Git] git log 알아보기 현재 브랜치의 위치와 커밋 기록을 보기 위해 git log를 자주 사용한다. 근데 일반적으로 git log만 입력한다면 텍스트로만 보여주기 때문에 눈이 편하진 않다. 그래서 git log의 option에는 그래프로 시각화해주는 기능이 있다. # 일반적 git log # 그래프 git log --graph 그래프로 보면 어느 지점에서 merge되고 branch가 생겨났는지 등 좀 더 시각적으로 이해하기가 편하다.
[Git] GitHub에 대용량 파일 업로드 하기 (Git lfs) 일반적으로 github에 push할 때 100MB 이상 파일이 있다면 error가 발생하면서 push가 되지 않는다. 그래서 100MB 이상 파일을 업로드 하기 위해서는 git lfs를 사용해야 한다. 1. git lfs 설치 $ git lfs install 2. 100MB 이상 파일 추가 $ git lfs track *.(확장자명) $ git add .gitattributes 3. git commit and push $ git commit $ git push
[Git] 매우 기초적인 Git 명령어 모음 Local Repository 현재 디렉토리에 로컬 저장소 만들기 >> $ git init 작업 트리의 파일 상태 확인 >> $ git status config 설정 유저 정보 설정>>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명"]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commit 편집 에디터 설정>>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프로그램명]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vim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notepad-plus-plus 정보 보기 $ git config --list Staging Area 파일을 등록하기 >> $ git add 파일명..
[Git] Git Push 또는 Pull이 안되는 경우 >> (fatal: refusing to merge unrelated histories) 로컬 저장소에서 리모트 저장소에 push 할 경우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hint: Updates were rejected because the tip of your current branch is behind hint: its remote counterpart. Integrate the remote changes (e.g. hint: 'git pull ...') before pushing again. hint: See the 'Note about fast-forwards' in 'git push --help' for details. 이는 로컬 저장소와 리모트 저장소가 같지 않기 때문에 병합을 해주어야 합니다. 병합을 하기 위해서는 $ git pull remote 별명 브런치명 을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