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MacOS

(4)
[Bash] Anaconda 가상 환경 기본으로 설정하기 Anaconda 설치 후에 가상 환경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conda activate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는데Windows, macOS, Linux 상관없이 Bash 터미널에서 Anaconda의 가상 환경을 기본으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1. Bash 설정 파일 열기vi ~/.bashrc2. 기본 가상환경 입력위에 vi 또는 vim으로 설정 파일을 열면 제일 하단에 기본으로 지정할 가상환경을 명시하면 된다.일단은 base를 기본으로 설정하는 예시를 따라하면 된다.source activate base3. Bash 설정 파일 바로 적용마지막으로 수정한 Bash 파일을 바로 적용하면 (base)가 활성화된 걸 확인할 수 있다.source ~/.bashrc
[Terminal] nvidia-smi 1초마다 모니터링하기 nvidia-smi을 통해 GPU 사용량을 1초마다 모니터링을 하고 싶다면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주기만 하면 된다. nvidia-smi -l 1
[M1] LightGBM 설치하기 apple m1에서는 pip install lightGBM을 수행하면 설치가 안 된다. 그래서 기반이 되는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해줘야 한다. 1. Xcode Command Line Tools 설치 xcode-select --install 2. brew 설치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3. miniforge 설치 brew install miniforge 4. cmake, libomp 설치 brew install cmake libomp 5. conda 가상환경 생성 conda create -n test conda activate test conda install n..
[Git] 맥북에서 깃허브에 대용량 업로드하기 인공지능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데이터나 모델 가중치 등 개수가 많고 용량이 큰 파일을 깃허브 레파지토리에 업로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용량 제한으로 업로드가 거부된다. 그렇다고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니 M1칩이 탑재된 디바이스 기준으로 어떻게 해야 깃허브에 대용량 업로드가 가능한지 알아보자. 1. 준비물 Homebrew Git 2. Git-LFS 설치 git-lfs를 설치하면 100MB이하까지 무료로 대용량 업로드가 가능하다! 그래서 homebrew를 통해 설치해주자. brew install git-lfs 3. Git-LFS 설정 git-lfs가 설치됐다면 프로젝트 폴더로 가서 대용량 업로드 할 파일 타입?을 설정해주면 된다. cd [프로젝트 폴더] git-lfs track "*.*" # "[파일..

728x90
반응형